본문 바로가기

규칙회담

규칙회담 - 스트라이크의 비밀

규칙회담(規則會談)은 야구의 규칙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곳입니다. 재밌게 즐겨 주세요.

 

'판정'이 존재하는 모든 경기에서 가장 중요한것은 판정이 얼마나 '공정'하고 '정확'하냐는 것이다.

 

판정이 '공정'하지 않으면 '편파판정이' 되고, 판정이 '정확'하지 않으면 '오심'이 된다.

 

그리고 어떤 경기도 이러한 것에 의문을 제기하는 판정시비로부터 자유롭지가 않다. 야구도 마찬가지이다.

 

야구팬들은 TV로 야구를 보는 동안 투구의 중계화면 속 스트라이크 존 통과 여부와 심판의 콜이 얼마나 정확하게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스트라이크를 잡아줘야 할 공인데 볼을 주면 이득을 본 팀의 팬은 분노하고 반대편은 기뻐한다. 심지어 각 팀의 포수들은 볼이 될것 같은 공을 스트라이크로 판정 받기 위해 소위 말하는 '미트질', 즉 '프레이밍'을 한다.

포수 프레이밍에 대한 대표적인 자료 중 하나인 2011시즌 베리텍과 루크로이의 우타자 상대 피치 로케이션.

굉장히 거창하게 시작을 했지만 오늘 할 이야기는 그렇게 무거운 이야기는 아니다. '스트라이크' 라는 것이 정확히 무엇이냐는 것에 대한 이야기이다.

먼저 야구 규칙에서는 스트라이크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STRIKE (스트라이크)

투수의 정규투구로서 심판원이 “스트라이크”라고 선언한 것을 말한다.

 

(a) 타자가 쳤으나(번트 포함) 투구에 배트가 닿지 않은 것

(b) 타자가 치지 않은 투구 가운데 공의 전부 또는 일부분이 스트라이크 존 을 통과한 것

(c) 노 스트라이크(no strike) 또는 1스트라이크일 때 타자가 친 것이 파울 볼이 된 것

(d) 번트한 것이 파울 볼이 된 것

(e) 타자가 친 공이 타자의 몸이나 옷에 닿은 것 (번트 포함)

(f) 스트라이크 존에서 타자에게 닿은 것

(g) 파울 팁이 된 것

 

반대로 볼은 이렇게 정의하고 있다.

 

BALL (볼)

투구가 떠 있는 상태로 스트라이크 존(strike zone)을 통과하지 못한 것으 로 타자가 치지 않은 공이다.

 

사실 야구팬들이라면 누구나 다 아는 내용이다.

필자는 여기서 스트라이크 정의의 (b), '타자가 치지 않은 투구 가운데 공의 전부 또는 일부분이 스트라이크 존 을 통과한 것'이라는 정의에서 스트라이크 존이 과연 무엇인지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스트라이크 존의 정의에 대해서도 야구규칙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STRIKE ZONE (스트라이크 존)

유니폼의 어깨 윗부분과 바지 윗부분 중간의 수평선을 상한선으로 하고, 무릎 아랫부분을 하한선으로 하는 홈 베이스 상공을 말한다. 스트라이크 존은 투구를 치려는 타자의 스탠스에 따라 결정된다.

 

[주] 투구를 기다리는 타자가 스트라이크 존이 좁아 보이게 하려고 평소와 달 리 지나치게 웅크리거나 구부리더라도 주심은 이를 무시하고 그 타자가 평소 취하는 타격자세에 따라 스트라이크 존을 정한다.

 

여기서 우리가 알 수 있는 재미있는 사실 하나가 있다. 스트라이크 존이 평면이 아니라는 점이다.

스트라이크 존은 입체도형이다. 스트라이크 존의 정의를 보면 스트라이크 존은 '홈 베이스 상공'에 존재한다.

스트라이크 존은 정말로 입체도형이다.

사실 규칙상 스트라이크랑 실제 적용되는 스트라이크 존은 살짝 다르다. 흔히들 KBO의 스트라이크 존은 좌우로 넒은 존, MLB의 스트라이크 존은 상하로 넓은 존이라고 얘기하곤 했다. 하지만 이런일은 원래 일어나선 안된다. MLB에서 정의하는 스트라이크 존과 KBO에서 정의하는 스트라이크 존은 동일하기 때문이다.

다음은 MLB 공식 규칙에서의 스트라이크 존에 대한 설명이다.

 

The STRIKE ZONE is that area over home plate the upper limit of which is a horizontal line at the midpoint between the top of the shoulders and the top of the uniform pants, and the lower level is a line at the hollow beneath the kneecap. The Strike Zone shall be determined from the batter’s stance as the batter is prepared to swing at a pitched ball.

 

해석해 보면 '유니폼의 어깨 윗부분과 바지 윗부분 중간의 수평선을 상한선으로 하고, 무릎 아랫부분을 하한선으로 하는 홈 베이스 상공을 말한다. 스트라이크 존은 투구를 치려는 타자의 스탠스에 따라 결정된다.' 라는 KBO 규칙과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왜 KBO와 MLB 사이에서 스트라이크 존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일까?

 

사실 리그내에서의 합의가 있는 것이다. KBO는 투수들이 홈베이스 기준 양쪽 구석 코스에 공을 집어넣기 어려워 했기 때문에 좌우로 존을 조금 더 넓혔다. 규칙서의 변경이 있었던 것은 아니고 현장에서의 합의였다. 2014년 즈음 부터 한국야구는 극심한 타고투저에 시달렸었다. 그래서 2016년 부터 홈 플레이트 양쪽을 기준으로 볼 반개를 유지하다가 2016년 이후부터는 좌우로는 공 한개 위로는 공 1개 반을 잡아 주는 것으로 합의가 됐었다.

 

타고투저의 흐름을 억제하기 위한 KBO의 노력은 계속되었다. 2019시즌에 앞서 공인구에 변화를 줬었다. ‘탱탱볼’ 논란이 일 정도로 빗맞아도 홈런이 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반발력을 낮췄다. 그 덕에 경기당 평균 홈런 수는 줄어들었으나, 평균 볼넷 수치는 점점 늘어났다. 홈런은 줄어들고 볼넷은 늘어난 재미없는 리그가 됐다. 타자들이 타석에서 애매한 공에 대해서는 참았기 때문이다.

 

KBO는 이러한 현상에 대해 2016년부터 2020시즌까지 스트라이크 존 판정 변화를 데이터로 분석한 결과 스트라이크 판정 존의 평균 분포가 전반적으로 좁은 형태로 변화된것이 문제라고 설명했다. 또 2022시즌부터 공식야구규칙의 스트라이크존을 활용하겠다는 메시지도 던졌다. 공식 규칙대로 적용한다면 앞으로 애매한 코스의 공들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스트라이크 판정이 나올 수 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그렇다면 정말 이렇게 존의 변화를 주는것이 효과가 있을까?

 

사실 KBO는 항상 스트라이크존의 변화로 타고투저나 투고타저를 조절해왔다. 1990년부터 2022년까지 KBO가 스트라이크존을 변경한 횟수는 무려 아홉 번이다. 최초 변경인 1990년과 세 번째인 1998년엔 야구 규칙을 개정해 존을 변경했다. 메이저리그의 규칙 개정을 수용한 결과다.

 

나머지 여섯 번은 규칙을 그대로 두고 판정 지침만 종전과 달리했다. 엄밀하게는 규칙 개정 없이 존을 변경할 수 없다. 하지만 KBO는 관행적으로 ‘존 확대’ ‘축소’라는 표현을 써왔다. 이 관행은 1996년 김기춘 총재부터 시작됐다. 두 번(1996·2007년)은 공격적인 야구를 유도한다는 명분으로 존을 축소했고, 다섯 번(2002·2010·2015·2017·2022년)은 타고투저 완화 등 이유로 확대했다.

실제로 이렇게 존에 변화를 주는 것은 효과가 있다. 존을 확대하면 볼넷이 확실히 줄어들고, 존을 축소하면 볼넷이 확실히 늘어난다.

자료상에 나타나지 않는 2022시즌 존 확대에 대해서도 한번 비교를 해 보았다.

2021 시즌 KBO리그 투수들의 ERA는 4.45, BB/9는 4.19였다.

2022 시즌 KBO리그 투수들의 ERA는 4.08, BB/9는 3.45였다.

 

이번에도 리그에서는 볼넷을 줄이고 ERA를 내리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처럼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기 때문에 KBO 내에서는 스트라이크 존을 유동적으로 조절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MLB의 스트라이크 존은 왜 상하로 넓은 것일까?

쉽게 말하면 타자들이 어퍼 스윙으로 높은 볼, 낮은 볼 상관없이 홈런을 때려 대기 시작하니 위아래로 높은 존이 되버렸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MLB는 존을 줄이는 쪽으로의 움직임을 가져가고 있었다. KBO가 타고투저 억제를 고민할 때 MLB는 투고타저를 고민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또 막상 두 리그의 존을 비교하면 상하, 좌우 모두 MLB가 넓다는 의견도 있다.

2023시즌 현재는 MLB가 피치클락 도입, 베이스 크기 변화, 시프트 금지 등 다양한 새로운 규칙들을 적용한 결과 타자들의 성적들이 평균적으로 오른 추세이다. 앞으로 리그 상황의 변화와 그에 맞춰서 스트라이크 존이 어떻게 바뀌는지 유심히 지켜보면 재미있지 않을까.

 

 

이번엔 조금 다른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스트라이크 여부를 '로봇'이 해주는 것이 어떻겠냐는 이야기이다.

아무래도 오심 및 편파판정에 대한 팬들의 분노로부터 나오는 주장이다. 축구에도 VAR이 도입되었고, 야구에도 비디오판독이 도입되었다. 실제로 축구와 야구는 VAR과 비디오판독으로 많은 오심을 잡아내고 그 오심을 정심으로 바꾸고 있다.

 

그러나 현재 스트라이크/볼에 관한 판정은 비디오 판독의 대상이 되지 않고 있으며, 오직 주심만의 고유한 권한이다. 모두가 스트라이크라고 생각하더라고 주심이 볼이라고 판정하면 볼이되고, 반대의 경우에는 스트라이크가 된다.

 

필자도 전자식 스트라이크 판정에 대해 괜찮다고 생각하고 있다. 심판을 탓하는 것이 아니다. 야구 경기는 하루에 약 300번 정도의 투구가 이루어지는데, 이렇게 많은 투구 상황에서 어떻게 모든 공을 정확하게 판단하냐는 말이다. 그리고 KBO와 MLB 모두 통계적으로 스트라이크 판정에 있어서 정확도는 90%가 넘는다. 물론 심판을 속이기 위한 포수의 프레이밍이라는 요소가 사라지는 것은 아쉽긴 하겠지만 말이다. 지금은 포수의 프레이밍도 엄연한 기술로 인정받고 있다.

 

실제로 지금은 기계식 스트라이크 판정을 도입하기 위한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미국은 2019년 독립리그 애틀랜틱 리그에 기계식 스트라이크 판정을 시범 운영한 바 있고, 우리나라도 2020년 8월부터 퓨처스리그 한정으로 시범도입을 하고 있다. 2022년에는 미국의 트리플A에 도입되었고, 2023년에는 한국의 고교야구에 도입되었다.

https://youtu.be/1PgGWWR_5NA

타자 키에 따라 변화하는 스트라이크 존 높이 반영 문제 등 아직 보완할 점이 몇 가지 있다고 한다. 몇 가지 보완해야 할 것들이 보완된다면 우리는 머지않아 기계식 스트라이크 판정을 프로 리그에서 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

 

by KerVerSchG

야구회담